
GNOME Shell 3.28 버전(Ubuntu 18.04) 이하에서 심각한 메모리 누수 현상이 있습니다. 현재 3.26 버전부터 이미 버그 리포팅이 되어서 개발자들이 인지하고 있으나 Ubuntu 18.04 버전에서도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알려져있기로는 Alt+Tab 을 누르거나 Super (윈도우)키를 누르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되면 GNOME Shell의 메모리가 상승합니다. 임시적 해결 방법 일시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GNOME Shell을 재시작하는 것입니다. Alt + F2 키를 누르고 r 키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한번 재시작한다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어서 틈틈이 재시작을 해주어야 합니다.

우분투 기본 로그인의 모습은 아래와 같이 너무 너무 "나 우분투야!"라는 걸 뽐내고 있다. 뭔가 설정에서 변경하는 걸 지원할 것 같지만 설정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조금 귀찮지만 설정 파일을 수정해주는 방식이다. 수정하는 방법 $ sudo vi /usr/share/gnome-shell/theme/ubuntu.css 위 파일은 우리가 수정해야할 파일이고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하다. 이 파일을 열면 아래와 같이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css 파일이 나오고 lockDialogGroup을 검색해서 수정하면 된다. #lockDialogGroup { background: #2c001e url(resource:///org/gnome/shell/theme/noise-texture.png); ba..

웨일 리눅스 버전은 flash를 따로 설치해주어야 합니다. Chrome의 경우 flash가 내장되어 있어서 flash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flash를 차단하는 정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flash를 클릭하여 차단을 해제해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리눅스용 웨일은 flash를 내장하지 않고 따로 설치해서 써야합니다. (윈도우 버전의 경우는 자동 설치됩니다.) 16.04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상태에서 install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하면 됩니다. 위 처럼 Linux64에 apt 버전을 선택하면 deb 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게 됩니다. 그런데 18.04에서는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PPAPI 압축 파일로 직접 설치하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PAPI용..
kill 명령어 일반적으로 background process를 종료시키는 방법은 kill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 kill -9 프로세스ID 해당 프로세스의 ID를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ps 명령어를 통해서 pid를 알아냅니다. $ ps auxf or $ps auxf | grep 검색키워드 이렇게 알아낸 pid를 통해서 kill을 하면 됩니다. $ kill -9 1234 만약 내가 생성한 프로세스가 아니라 권한이 없다면 $ sudo kill -9 1234 이거 말고도 pkill 같은 다른 명령어도 있습니다. 이건 일반적이라 대부분의 분들이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이 글을 쓰는 건 다음 경우 때문입니다. jobs + kill 조합 pid를 알아 내기 귀찮을 때 이렇게 해보세요. brow..

HTML5 등장 이후에 많은 사이트들이 flash를 제거하고 HTML5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지만 여전히 lagacy를 없애지 못하는 곳들도 상당합니다. 대표적으로 네이버 증시 차트 페이지도 flash로 이루어져있죠. Chrome, Whale 과 같은 브라우저에서 flash가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설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18.04 이전 버전인 경우 어도비 사이트에서 바로 설치 가능합니다. 아래의 주소로 들어가서 운영체제(Linux)와 버전(FF xx for Ubuntu)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https://get.adobe.com/kr/flashplayer/otherversions/ 18.04 이후라면? 위의 방법으로 시도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2가..